안녕하세요. 뭐하냥궁금하개입니다. 오늘은 한국의 대표적인 견종 진돗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진돗개는 충성심이 강한 걸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한 주인에게 매이는 성격이 강해서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사역견으로는 안 쓰는 견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털 색깔에 따라 백구, 황구, 그 외에 재구, 네눈박이, 호구, 흑구 등 10여 종으로 분류가 된다고 합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진돗개의 특징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고 보호되고 있습니다.
-귀가 쫑긋하고 꼬리는 위로 말려져 있는 게 특징입니다.
-전체적으로 단모입니다. 털 관리가 쉽습니다.
-진돗개는 깔끔한 성격으로 가족들과 생활하는 실내에서는 배변을 하지 않고, 실외 배변을 합니다.
-최소 하루에 3~4번은 산책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대체적으로 물을 싫어하는 편이지만, 주인과 함께 물을 가까이 훈련하면, 비 오는 날에도 산책을 하실 수 있습니다.
-고양이처럼 자기 몸을 그루밍을 해서 청결을 유지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매우 영리하고, 활동적인 편입니다. 그래서 가족 안의 다은 인물이나 다른 개와 놀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억력이 매우 뛰어나서 몇 번 반복된 명령이나 행동을 보여주면 그것을 기억하고 행동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지능이 높은 진돗개는 스스로 생각하고 무엇이 필요한지 찾아주는 진돗개도 있습니다.
-분리불안과 거리가 먼 친구들입니다. 혼자 놔두면 스스로 놀이를 찾아내어서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호기심이 많은 견종이기도 합니다. 나무에 오르거나 무언가를 맛보고 즐기고 씹고 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주인과 서열을 충분히 구별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하지 말라고 하는 행동에 제제를 가할 수 있습니다.
-진돗개는 의외로 사냥개의 특성이 있는 견종입니다. 그래서 활동력을 완화시키려면 충분한 산책을 즐겨 주시는 게 좋습니다. 이때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많이 예민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목줄이나 낯선 사람을 물려고 하기 때문에 충분히 활동력을 소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산책은 365일 해주셔야 합니다.
-진돗개는 독립성과 자주성이 강한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하나부터 열까지 다 챙겨줘야 하는 반려견들과는 달리 주인이 없어도 스스로 움직이고 생각하고 행동을 합니다. 고로 하나의 독립된 가족이라고 생각하고 키우셔야 합니다.
-진돗개는 중형견에 속합니다. 털은 삼중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견의 경우 18~27kg 정도의 무게를 가집니다.
요약
- 진돗개를 키우시거나 키우실 예정이신 분들은 주의하셔야 하는 것은 생활 반경 내에서는 배변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산책을 시켜주셔야 합니다. 마당이 있는 집이라면 묶어서 기르기보다는 풀어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주시고, 사람들과 친화적으로 지낼 수 있게 훈련을 시켜 주셔야 합니다. 대체적으로 생활 반경에 모든 일들을 신경 쓰고 경계하는 편이라서 집을 잘 지키는 충성심 강한 견종입니다. 한 주인에게 마음을 다 주고 바라보는 견종이기 때문에 중간에 파양을 하실 것 같으면 처음부터 안 키우시는 게 좋겠습니다. 주인 찾아서 나와버리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입니다.
-"돌아온 백구"라는 실제 있었던 이야기. 정말 훌륭한 견종입니다. 백구는 1988년 전남 진도군 의신면 돈지리에서 박 씨 할머니 집에서 태어났습니다. 그 집에서 약 5년간 자랐고, 1993년 3월에 대전으로 팔려갔습니다. 그렇게 대전으로 갔던 백구는 1993년 10월 먼길을 돌고 돌아서 진도로 돌아왔습니다. 300여 km를 헤매고 헤매어서 찾아온 것입니다.라는 게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사실 그 뒷이야기는 조금 씁쓸한 이야기입니다. 원래는 순종 혈통이 아니라는 이유로 보신탕 업자에게 팔려갔다가 중도에 도망쳐 나와 집으로 돌아왔다는 게 사실된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를 한 기자가 재구성을 하여 기사를 냈던 것입니다. 이 백구 이야기로 인해 CF와 게임, 만화 등 백구를 주제로 한 상품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진도군은 순종이 아니라는 이유로 버려졌지만, 주인을 향한 마음으로 다시 돌아온 백구를 기리기 위해서 백구상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한국 견종 진돗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말 한국에서 자란 견종인 만큼 순종이 아니라도 훌륭한 견종이기 때문에 버려지는 일이 없었으면 합니다. 이야기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까지 이 글을 읽어주신 분들께 항상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알그몰그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에게 당신은 조종 당하고 있습니다. (0) | 2021.09.01 |
---|---|
반려견의 사랑 표현 방법 (0) | 2021.08.29 |
견종 골든리트리버 특징 (0) | 2021.08.25 |
견종 말티즈 특성 (1) | 2021.08.24 |
강아지가 만져 달라고 하는 행동과 이유. (0) | 2021.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