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 반려견 처음 키울때 주의사항 5편.(강아지 손 훈련) 오늘의 이야기는 강아지를 훈련시킬 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보호자의 행동에 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강아지 손 교육보다 먼저 해야 할 일 -"손"교육보다 먼저 해야 할 것은 "앉아"교육부터~ 보통은 손 교육을 시키실 때 이 교육보다 좀 더 한 단계 빨리 해야 하는 훈련이 있습니다. "앉아"라는 교육입니다. 앉아라는 명령어를 강아지들에게 해줬을 때 처음에는 어리둥절할 겁니다. 그럴 때는 교육을 시키는 사람이 사료나 아주 작은 조각의 간식을 여러 개 손에 쥐고 냄새만 맡게 해 줍니다. 앉는 행동을 취하기 전에는 절대 주어서는 안 됩니다. 앉아 라고 말을 해서 앉았다면 그때 간식을 주시거나, 기다리고 있으면 강아지가 바라보면서 앉을 때가 있습니다. 그럼 그때 짧은 칭찬과 함께 간식을 먹여 줍니다. 그리.. 2021. 8. 6. 반려견 처음 키울때 주의사항 4편.(강아지가 하는 행동) 오늘의 이야기는 강아지가 하는 행동에 대해서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보호자의 손을 긁는다거나, 빙글빙글 제자리에서 돈다거나 털을 곤두 세운다거나 할 때 보호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보호자의 손을 자꾸 긁어요. 무슨 의미인가요? -아마도 무언가를 원할때 하는 행동들입니다. 특히 보상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요. 아니면 강아지가 좋아하는 무언가를 해줬을 수도 있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내 손을 긁거나 툭툭 치는 행동을 한다면 이는 자기가 원할 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무언가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 없이 의무적으로 하는 행동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보호자분이 내려주는 보상이 의미가 없을 수도 있어요. 왜냐면 자기가 툭툭 보호자를 건들면 보상이 떨어지니까... 보상이라는 의미.. 2021. 8. 5. 반려견 키울때 주의사항 3편.(강아지가 싫어할때) 오늘은 강아지들이 싫어하는 것들과 친하게 지낼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들이 보통 싫어하는거라면 목욕하는 욕실이나 보호자가 사라지는 자동차, 그리고 안 좋은 기억이 있는 물건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사람도 그렇듯이 안 좋은 기억이 있는 음식이나 물건은 보기만 해도 거부반응이 일어나잖아요? 마찬가지로 강아지들도 그런 기억들이 있어서 거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목욕을 시키려고 욕실에만 들어가면 뛰쳐나가려고 해요. -그렇습니다. 목욕시키기 참 어렵죠.목욕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이 있어서 그런 걸 텐데요. 욕실은 일단 들어가면 문을 잠그고 보호자가 힘을 써서 강아지를 고정시킨 후 목욕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강아지 입장에서는 아프고 싫은 기억이기 때문에 욕실을 싫어하게 되는 것.. 2021. 8. 4. 반려견 키울때 주의사항 2편.(손을 핥는이유) 오늘은 강아지가 보호자 손을 핥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가 처음 집에 오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앉았을 때, 강아지와 조금 친해졌을 겁니다. 보호자분이 이쁘다고 머리도 쓰다듬어주고 배도 간지러 주고 하는데.. 그때마다 강아지가 자꾸 내 손을 핥아줍니다.무슨 의미일까요?? 만져주면 제 손을 핥아요. 싫다는 뜻인가요??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보호자분이 만져주고 있을 때 귀를 보시면 뒤로 접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는 싫다는 표현을 하는 건데.. 이 강아지가 너무 소극적인 아이들이 이렇게 표현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눈빛은 눈치 보듯이 으~~ 싫은데 하는 그런 눈빛이 되어 있을 겁니다. 이번에는 보호자분이 만져주고 있을 때~ 귀가 아니라 꼬리가 헬리콥터 프로펠러 돌듯이 마구.. 2021. 8. 3. 반려견 키울때 주의사항 1편 (필요한것들) 오늘은 반려동물 강아지를 처음 키우기로 마음을 먹고 데려오셨다면,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집에 오면 천방지축 날뛰고, 숨고, 눈치 보고, 냄새 맡고, 물어뜯고, 할 텐데요. 이 친구들이 최대한 편안하게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를 처음 키울 때 필요한 게 뭐가 있나요? -강아지에 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강아지에게 필요한 의-식-주가 마련되어 있어야 합니다. 가족들이 알고 있는 지식은 공유를 먼저 하시고, 주인으로 인식할 대표 사람이 필요합니다. 주로 밥을 주고 산책을 시켜주는 사람이 될 텐데요. 이 사람을 누구로 할 것인지 정해야 합니다. 주인 시 여겨질 사람은 3가지는 기본으로 해야 합니다. 밥 주기, 청소하기, 산책하기를 위주로 .. 2021. 8. 1.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